Ubuntu 20.04.2 LTS 환경에서 실행되었습니다.
📌 왜 리눅스니 ?
GUI 잘되어있는 윈도우버리고 CLI 오지게 써야하는 리눅스로 왜 왔을까 ?
몰라 그냥 멋있어 마치 나도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것만 같은 느낌이 들잖아 ^ㅁ^
윈도우, 맥 OS 사용하는 곳 제외하면 ( 아 물론 맥 OS도 유닉스 기반 ) 다 리눅스 쓰니까 이번김에 익숙해지자는거즤
그리고 서버쪽에서는 리눅스를 다루는 일이 빈번하다 !! ....풀스택 대비..?! ㅎㅎㅎ하하
🏁 진짜 이유
자바스크립트는 특히 오픈 소스, 특히 npm을 기반으로 발전해왔다.
이 거대한 생태계를 기반으로 개발자들이 스스로 업데이트하고, 발전해왔다.
문제는 이 ecosystem이 macOS 사용자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. --> 본격 맥 구매 권장 ...
자바스크립트 생태계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React 개발진이 맥북 이외의 컴퓨터를 쓰는 것을 본 적이 없다....
프론트앤드 개발자 중 맥을 쓰지 않는 사람은 손에 꼽는다고.... 맥 얼른 살게요 ... 네 ㅜㅡㅜ
여튼 !!! 윈도우에서 자바스크립트 개발을 시도할 경우, 문제가 될 만한 부분들이 많더라.
일단 macOS를 쓰기 전에 리눅스 CLI 환경부터 익혀두려고 한다.
✅ node.js 버전 관리 툴인 nvm은 윈도우를 지원하지 않는다. ( nvm을 통해 node.js를 깔아야 프로그램 버전 관리가 가능하다 )
✅ node.js 모듈 중 리눅스/macOS용 컴파일 도구를 이용하는 경우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없다.
✅ 시스템 환경 변수를 사용해야 할 경우, 대부분은 리눅스/macOS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. ( 윈도우 안녕... )
✅ git을 이용할 때 개행문자 처리의 차이로, 페어와 협업 시 불필요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📌 시작은 듀얼 부팅
🏁 준비물
◾ 포맷해도 상관없는 USB (16GB 이상 / 4GB는 뭔가 불안해 ...)
◾ 상대적으로 넉넉한 C 드라이브 용량 (난 Window 50GB, Ubuntu에는 60GB 할당함)
즉, 60GB 의 C 드라이브 용량을 가지고 듀얼 부팅 시작했음 !
◾ rufus-3.8.exe (부팅 USB를 만들어주는 프로그램) 설치
◾ ubuntu-18.04.3-desktop-amd64.iso (우분투 실행 파일) 설치
🏁 설치 과정
✅ 설치한 rufus-3.8.exe 파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기
◾ '부트 선택' - '디스크 또는 ISO 이미지 (선택)' 클릭
◾ 설치한 ubuntu-18.04.3-desktop-amd64.iso 을 ISO 이미지로 '선택' 하기
◾ '파일 시스템' - FAT32(기본) 클릭
근데... 난 NTFS 선택했는데 별일이 일어나진 않았음
그치만 NTFS를 선택하게 되면, BIOS 모드에서 컴퓨터가 USB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함 !
◾ '시작' 클릭 ! 예 클릭 ! 다운로드 시작 ! ISO 이미지 선택 ! 확인 ! (왤케 많이 물어봐 무서워)
✅ 컴퓨터 재부팅하기
◾ 컴퓨터가 제조사 로고를 띄우며 막막막 시작하려고 할 때 ! F2나 F10이나 F12를 미친듯이 눌러줍니다
◾ 왜냐면 우리는 BIOS 모드에 진입해야 하기 때문이죠
◾ BIOS 모드에 들어가는 키는 컴퓨터 제조사마다 달라서, F2 / F10 / F12 복불복일겁니다
✅ BIOS 화면에서 조작
◾ Boot 메뉴로 이동 - 여기서 부팅 순서를 바꿔야 합니다
◾ 우리가 컴퓨터에 꽃아놨던 그 USB있죠, 그걸로 바꿔줘야 해요
◾ USB가 먼저 부팅되도록 순서를 위로 올려줍니다 !
◾ 맨 위로 올려놓고 저장해줍니다
◾ 다시 컴퓨터 재부팅 해줍니다
✅ 이제부터 진정한 우분투 설치 시작
◾ 왼쪽에서 언어 선택하고 (암거나 하세요 알아들을 수 있는 걸로 >< 나중에 바꿀 수 있어요)
◾ 우분투 설치를 눌러요 ! 우분투 체험 or Try 아니에요
◾ 계속하기 ...
◾ 와이파이 굳이 지금 입력 안해도 되요 해도 되구 ... 계속 계속
◾ 기타 설정에 있는 2가지 목록 모두 체크 해주시고 ... 계속
◾ 자 이제 정말 중요한 페이지 >< 설치 형식을 선택해 줍시다
여기서 잘못하면 나의 파일들 싹 사라지는 마법을 경험할 수 있어요
우리에겐 2가지 방법이 있어요
🚩 Window를 그대로 두고, Ubuntu 설치
🚩 기타 설치
◾ 하드 드라이브를 파티션으로 나눌 수 있다면 01번, 없어도 01번을 선택해 주세요 ><
◾ 파티션 나누기도 괜찮아요 그치만 ... 그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면
제 마음대로 하드 드라이브의 공간을 조정할 수 있는걸요 ? ㅜ
드래그로 필요한 만큼의 공간 확보해주세요
◾ 용량 나누기를 끝냈다면 설치 ㄱㄱ
◾ 내가 사는 곳은 Seoul ... 아닌데 뭐 여튼
◾ 사용할 계정이랑 비밀번호 입력해야하는데,
둘 다 길어버리면 나중에 귀찮아지니까 무조건 짧고 잘 기억할 수 있는 걸로 !
아 물론 리눅스 설치하면 입력할 일이 많아서 복잡한 비번이라도 기억할수밖에 없게됨
✅ 다시 컴퓨터 재부팅 & BIOS 모드 진입
◾ Boot 메뉴로 이동 - 여기서 부팅 순서를 원래대로 바꿔줍니다
◾ 나중에 우분투로 들어가든, 윈도우로 들어가든 자유자재로 왔다갔다 하기 위해 바꾸는 거에여
✅ 부팅 USB 뽑고, 다시 컴퓨터 재부팅 --> 진짜 진짜 마지막이애오
◾ 까만 화면이 나와서 당황하셨어요?
◾ 당황한 채로 원하는 운영 체제 선택해주세요 Window냐 Ubuntu냐 ...!!
이상한 거 다른 거 클릭하지 마시구
📌 듀얼부팅에서 --> 리눅스 원톱으로 간다
우리는 하드 드라이브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을 몰랐지만,
이미 우분투를 설치할 때 그걸 해버렸다. 즉, 하드 드라이브 파티션이 나눠져있다 ~ 이 말이야 >_<
🏁 1차 고민
이걸 어떻게 하지?
음... 한쪽 파티션에는 윈도우가 자리잡고 있고, 다른 한 쪽에는 우분투가 자리잡고 있으니
윈도우가 들어있는 드라이브를 비운다음 --> 우분투 드라이브에 합쳐주면 되지 않을까 ?
오 그래! 아까 우분투 설치할 때 파티션을 조정하는 기능이 있었으니,
다시 우분투를 설치하면서 파티션을 어떻게 조정해보자 !
🏁 1차 시도
우분투 설치하면서 내 맘대로 어찌어찌 파티션 조정해서 다시 설치함
근데 이게 왠걸 ...? 파티션이 하나로 합쳐지긴 개뿔 ...?
원래 Window 운영체제깔려 있던 하드 드라이브에 Ubuntu가 설치됌 ㅎ
졸지에 하나의 하드 드라이브에 Ubuntu 2개 설치해벌임 아오...
하... 그냥 써 ! 귀찮아 ! 하고 포기할 뻔 했는데, 이 컴퓨터도 내 맘을 알았는 지 갑자기 오류를 낸다
더 이상 우분투1도, 우분투2도 작동되지 않는다 와 ! 와 ! 진짜 망했다
🏁 2차 고민
지금 D 드라이브에 들어있는 내 파일들의 생사도 모른다 ... 진짜 멘붕이었다
하 어쩔 수 없이 USB에 들어있는 우분투 설치 파일에 다시 도전하게 되었다
일단 ... 운영체제만 제대로 설치가 안된거니까 드라이브에 들어있는 파일들은 무사할거라고 짐작 ! 짐작했다
지금 해결해야 하는 2가지 문제는,
🚩 첫째 기존의 파일들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우분투 설치를 진행한다.
🚩 둘째 파티션이 현재 나누어져있는데, 이건 설치하면서 합쳐야 깔끔해지고, 나중에 내가 고생을 덜한다.
🏁 2차 시도
난 그래서, 내 파일의 목숨을 담보삼아 4번째 우분투 설치에 도전했다
정말로, 이 때는 그냥 듀얼 부팅 쓸걸... 엄청 후회했다 ㅠㅠㅠ
내가 왜 왜 왜 일을 벌인걸까 ... 하드 드라이브도 다룰 줄 모르면서 ㅜ
하드 드라이브 파티션 나누는 프로그램들이 죄다 유료던데, 그냥 돈을 낼걸 그랬나 ?
듀얼 모니터 쓰면서 윈도우랑 우분투의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었는데 괜히 나섰나 ?
별 생각이 다 들었다.
어쨌든, 결과는 성공했으니 이렇게 블로그 글도 쓰고 있다 ㅜ.ㅜ
❗ 듀얼 부팅이었는데, 리눅스 하나로 변경하면서 쓴 방법 ❗
우분투를 (다시) 설치할 때,
'파일을 훼손시키지 않고 설치하기'를 선택하지 말고 ! !
'기타'를 선택해서 직접, 파티션을 조정해야 한다.
+, - 눌러가면서 나누어져있던 C 드라이브의 공간들을 합쳐 준다. --> 파티션을 없애준다.
C 드라이브의 용량이 점점 증가하는 게 숫자로 보인다.
자 이제 중요 !
합쳐진 C 드라이브를 다시 파티션을 줘가며 꼭 필요한 공간들은 만들어줘야한다.
🚩 SWAP 공간 5기가 할당
🚩 EFI 공간 5기가 할당
🚩 절대적으로 할당해줘야 하는? 이름의 공간..(정확한 이름이 기억 안남) 7기가 할당
🚩 Ext4 journaling 어쩌구 다른 곳 할당하고 남은 거 싹 다 할당
(얘는 Mount point 를 /로 설정해줘야 함)
이렇게 할당하고 재설치했더니 ! ! 나눠졌던 파티션 합쳐지고 정상 작동하였다 .... 크으
운이 좋아서 설치된거일수도 있다 ㅠ
혹시나 헤매고 있는 리눅스 설치러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! !
'the others > ubuntu 삽질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리눅스 삽질기 ] 우분투에서 시간이 제대로 안뜬다고요? (0) | 2021.07.31 |
---|---|
[ 리눅스 삽질기 ] 우분투 마이크 잡음 제거하기 ! (2) | 2021.07.30 |
[ 리눅스 삽질기 ] 우분투에서는 이모티콘 어떻게 써요 ? (0) | 2021.07.29 |
[ 리눅스 삽질기 ] 우분투에 Git 설치하며 겪었던 다양한 문제들 (0) | 2021.07.26 |
[ 리눅스 삽질기 ] 우분투에 Visual Studio Code 설치하며 겪었던 다양한 문제들 (0) | 2021.07.26 |
댓글